티스토리 뷰
컴퓨터 네트워크 수업시간에 네트워크 강의를 들으면서
이 두 개의 차이점이 정확히 무엇인지 구분이 안됐었다.
단순히 집에서 유무선 공유기(wi-fi)만 사용했어서인지
AP개념을 잘 잡지 못하겠어서 이렇게 정리를 해보자면
유무선 공유기(wi-fi)
공인 IP를 받아 와 사설 IP로 할당해주는 네트워크 장비이다.(인터넷 IP주소 공유기)
흔히들 각 가정집(회사, 커피숍 등등)에서 사용하는 wi-fi를 말한다.
공유기에 WAN선을 꽂아 네트워크 공인 IP를 할당받고 각 디바이스들에게
사설 IP를 할당하는 구조로 작동한다.
다양한 방법(유선, 무선)으로 인터넷을 연결할 수 있고
NAT, 허브, 스위칭 기능이 추가된 라우터라고 보면 된다.
NAT 기능이 있어서 사설 IP를 각 연결된 디바이스들에게 할당할 수 있다.
vs
AP(Access Point)
무선 공유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환경(유선 LAN 환경)에서 라우터에 무선AP를 연결하여
해당 AP에서 무선으로 인터넷이 가능하게 만드는 네트워크 장비를 말한다.(인터넷 중계기)
(유선 신호 환경 -> 무선 신호 환경)
AP 또한 각 도서관, 관공서, 회사 사무실 등등에서 흔히 볼 수 있다.
무선으로 인터넷을 연결할 수 있지만
유무선 공유기와는 다르게 NAT 기능이 없다.
따라서 NAT 기능이 있는 라우터가 필요하다.
전원 연결이 필요 없고(POE기능 지원), 사설 IP주소 할당 X
.
.
.
.
.
.
.
.
요약
두 네트워크 장비 모두 인터넷을 무선으로
연결하여 사용 할 수 있지만
NAT 기능 지원에 차이가 있다.
유무선 공유기 ≒ AP
'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웹 서버(Web server)와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(WAS) (0) | 2022.06.25 |
---|---|
NAS(Network Attached Storage) (0) | 2022.06.14 |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정수를 문자열로
- 운영체제
- 트리만들기
- 쉘
- 단어의 개수
- 토이사이퍼
- C++
- to_string
- 알고리즘
- 파일입출력
- 백준알고리즘
- boj
- Web Server
- ??!
- cin.getline()
- 자료구조
- 문자열입력
- 백준
- toy cipher
- 웹 서버
- 1152
- 정수
- 25083
- getline()
- 네트워크결합스토리지
- stringstream
-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
- 데이터저장장치
- 커널
- web application server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