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#include <iostream>
using namespace std;
int main() {
double A = 4321.9876543;
cout << A << "\n"; // 총 기본(6개의 수)까지만 표현
cout.precision(7);
cout << A << "\n"; // 총 7개의 수까지만 표현
cout << fixed; // 정수부분은 놔두고 소수자리중에서 4개의 수까지만 표현
cout.precision(4);
cout << A << "\n";
}
A = 4321.9876543
1. 그냥 cout을 하게 되면 기본으로 6개까지의 수가 표현된다
>> 4321.99 (마지막 자리수는 자동 반올림)
2. cout.precision(n)은 정수+소수 부분 다 합쳐서 n 개만큼의 수가 표현된다
>> cout.precision(7) = 4321.988
3. cout << fixed
cout.precision(n) 은 정수 부분은 놔두고 소수 부분에서 n 개의 수가 표현된다
>> cout << fixed;
cout.precision(4) = 4321.9877
'프로그래밍 > C,C++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++ 라이브러리 추가 전처리기 (0) | 2019.07.29 |
---|---|
C++ 문자열을 정수로 (0) | 2019.07.29 |
C++ 문자열 공백 포함 입력받기 (0) | 2019.07.29 |
C++ 파일 입출력 2. (0) | 2019.07.29 |
C++ 파일 입출력 1. (0) | 2019.07.29 |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boj
- Web Server
- C++
- 커널
- 네트워크결합스토리지
- to_string
- ??!
- 정수를 문자열로
- stringstream
- 백준알고리즘
- 1152
- 트리만들기
- 운영체제
- 토이사이퍼
- 자료구조
- 쉘
- 웹 서버
- getline()
- 정수
- cin.getline()
- toy cipher
- 25083
- 단어의 개수
- 데이터저장장치
-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
- 백준
- 파일입출력
- web application server
- 문자열입력
- 알고리즘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|||
5 | 6 | 7 | 8 | 9 | 10 | 11 |
12 | 13 | 14 | 15 | 16 | 17 | 18 |
19 | 20 | 21 | 22 | 23 | 24 | 25 |
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글 보관함